경제학파 13가지 총정리2탄 !!
오늘은 총정리1에 이어서 총정리2로 경제학파의 모든것을 마무리할까 합니다.
경제학파 13가지 총정리1을 못보신 분들은
1을 보고 오시면 이해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것 같네요.
바로 이어서 갑니다.
5. 통화주의, 새고전주의
통화주의, 또는 새고전주의는 거시경제학 내의 학파를 말한다. 신자유주의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데 통화주의는 50~60년대의 프리드먼이 창시하다시피한 학파이고, 새고전주의는 루카스, 사전트, 프레스콧 등이 거쳐간 70년대 이후의 학파를 말한다.
6. 제도학파
미국에서 19세기 말부터 1930년대에 걸쳐서 발달한 학파로 경제현상 자체를 역사적으로 진화하고 발전하도록 하는 사회제도의 하나로 분석하려 하였다. 대표적인 제도학파 경제학자로는 창설자인 베블런(Veblen, T.), 미첼(Mitchell, W.S.), 코먼즈(Commons, T.R.) 등이다. 제도학파는 행동심리학이나 실용주의, 사회개량주의, 진화론 등을 기초로 하면서 고전학파 경제학에 대해서는 비판을 하고 이론적 연구는 계속적으로 하면서 역사적 연구를 중요시하는 경제학파로 자리잡았다.
7. 신제도학파
신제도학파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주류가 되는 경제학적 접근은 합리적 선택의 신제도주의다. 합리적 선택을 중요시하는 신제도주의는 합리적인 인간의 행태를 분석하는 경제학문이다. 게임이론, 로널드 코즈, 게임이론, 엘레너 오스트롬, 행동 경제학 등이 이와 연관이 있다.
8. 행동경제학
* 비주류 경제학
1. 신경경제학
신경경제학은 행동경제학과도 연관이 있으나 신경과학에 좀 더 근거한 경제학이다. 신경경제학은 뇌의 활동을 관찰하여 인간의 의사 결정에 대한 행동을 이해하고자 연구하는 분야이다. 1999년 플래트와 글림서가 원숭이 뇌를 관찰하여 논문으로 발표한 것이 신경 경제학의 시초로 여겨진다. 그 밖에 대니얼 카너먼이나 버넌 스미스와 같은 행동 경제학 학자들도 신경 경제학을 연구하는 데 힘썼다.
2. 진화경제학
구조적으로는 경제 진화가 생물 진화와 구조적으로 유사성한 성질을 갖는다고 보고, 인간과 기술이 통합되어 지식이 진화한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경제이론이다.
3. 열역학 경제학
열역학 경제학은 니콜라스 조제스쿠 뢰겐이 시초한 경제학 분야로 열역학 법칙을 경제학에 적용한 이론이다.
4. 생태경제학
생태경제학(ecological economics)이란 경제가 생태계의 일부라고 부는 이론이다. 열역학 경제학과 연관이 깊다고 볼 수 있는데 1970년대에 인류의 복지 향상을 위해서는 인류와 사회의 발전이 지속 가능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이 분야가 연구되었다. 생태계의 중요성과 경제의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성을 이론화하고자 한 것이다.
5. 환경경제학
환경 경제학(environmental economics)이란 1960년대에 선진국 등에서 환경주의의 심각성을 알고 그것에 영향을 받아 경제학이라는 생태계 안에서 고민할 수밖에 없는 분야로 태동하였다. 환경주의의 심각성에 대한 지각은 이미 선진국 등에서 깨닫고 그에 따른 대처를 많이 연구하는데 환경호르몬의 경우에는 유해한 독성 폐기물과 온실효과 기체 등 환경을 오염시키는 다양한 물질들이 피해를 주기에 이는 경제 활동의 결과와 연결돼 피할 수 없는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환경경제학은 경제 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한 그 영역 안에서 환경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규명하고 모색하는 이론이다.
근대에 들어서는 환경경제학이 굉장히 더욱더 부각되고 중요해지고 있는데 그 예로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되는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한 사례가 그것이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지구에 심각한 피해를 줌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설정하고 탄소 배출권은 자유롭게 사고팔게 하는 방법이다.
주요 경제학 명저서
-1776년 아담스미스의 [국부론]
-1936년 존메이너드케인스의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
주요 경제학자 특징
-경제학의 아버지 : 애덤 스미스
-노동가치설의 정교화, 비교 우위설 창시 : 데이비드 리카도
-마르크스주의 창시자 : 카를 마르크스
-경제학과 수학적 분석 도구 도입, 일반 균형이론 창시 : 알프레드 마셜
-거시 경제학의 아버지 : 존 메이너드 케인즈
-신자유주의 대부, 법 경제학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신자유주의 대부, 통화주의 주장 : 밀턴 프리드먼
-합리적 기대 : 로버트 루카스
-코즈 정리 : 로날드 코즈
-현시 선호 이론 : 폴 새뮤얼슨
-국제무역 이론 : 폴 크루그먼
-경제학 교과서 " 맨큐의 경제학" 저자 : 그레고리 맨큐
-불가능성 정리 : 케네스 애로우
-시장균형 부정 : 칼 폴라니
이상 경제학파의 모든것, 고전학파, 신고전학파, 시카고학파, 통화주의, 새고전주의, 제도학파, 신제도학파, 행동경제학, 신경경제학, 진화경제학, 열역학경제학, 생태경제학, 환경경제학 그리고 그들 중 명저서를 남긴 책의 이름과 경제학자별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자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ELS ELD MMF에 투자해야하는 이유1 (0) | 2022.06.14 |
---|---|
환율은 뭐고 스프레드는 뭡니까? (0) | 2022.06.13 |
경제학파 13가지 총정리 1탄 (1) | 2022.06.13 |
보이지 않는 손 아담스미스 국부론 총정리2 (0) | 2022.06.12 |
보이지 않는 손 아담스미스 국부론 총정리1 (0) | 2022.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