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가산금리(Spread : 스프레드)란?
환율 스프레드가 어쩌고저쩌고 이런 이야기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쉽게 말해 스프레드란 가산금리를 말하는 것으로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차이를 감안하여 다르게 덧붙이는 금리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도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하는 것입니다.
기간 가산금리(Term spread : 텀 스프레드)란?
스프레드의 일종 중 하나로 만기가 길어지게 될 경우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 즉, 텀 스프레드라고 합니다.
텀 스프레드는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인 스프레드가 커지게 됩니다.
한편 채권시장의 경우에는 비교 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경우
반응형
리보(LIBOR, 런던은행간금리)나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의 등급에 따라서도 가산금리가 붙어서 발행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도 지난 1997년 외환위기였을 당시
해외에서 기채(국가나 공공 단체가 공채를 모집하여 빚을 얻거나 재원 조달)할 때 높은 가산금리를 지불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기준금리와 차이를 나타내는 가산금리나 스프레드는 보통 베이시스 포인트(bp, basis point)로 나타내는데
예를 들면 0.3%의 금리 격차를 30bp로 표기하니 1%는 100bp로 표시됩니다.
반응형
LIST
'부자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운경제11)가상통화공개란?스타트업 혁신기업 암호화화폐 디지털토큰 크라우드펀딩 기업공개 IPO ICO 이더리움 (0) | 2022.06.24 |
---|---|
쉬운경제10)가상통화란?블록체인 비트코인 사이버머니 P2P 뜻 (0) | 2022.06.24 |
쉬운경제08)가변예치의무제도란?외국환거래법 예치의무 뜻 (0) | 2022.06.23 |
쉬운경제07)가동률이란?생산능력 제조업평균가동률 뜻 (0) | 2022.06.23 |
쉬운경제06)가교은행이란?금융기관 청산 합병 인수 예금보험제도 뜻 (0) | 2022.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