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가동률이란?
가동률이란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의 백분율(생산실적/생산능력×100)을 말하는 것으로,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를 말해요.
여기서 생산능력이란
설비나 인력, 조업시간 등 정상적인 조업환경에서 사업체가 최대한 생산해 낼 수 있는 가능량
즉, 적정 생산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냅니다.
생산설비의 가동상황을 나타내주는 가동률은
경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되기도 하는데요,
이는 앞으로의 경기 예상에 따라 가동률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기업이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가동률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닌데요,
반응형
왜냐하면 경기 침체가 진행된 상황에서는 높은 가동률은 앞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희망적인 신호로 인식될 수 있지만
경기가 활황세인 상황에서 지나치게 높은 가동률은 오히려 인플레이션 우려를 낳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제조업 생산능력이라던가 가동률지수를 매월 통계청에서 산출하여 발표하고 있는데요,
이들 지수는 공급능력과 설비가동의 절대 수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준 연도의 생산능력과 가동률을 100으로 해서 비교해 보았을 때
공급능력과 가동상태가 어느 수준인가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가 된다는 것입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이란
제조업체의 생산설비 이용도를 알 수 있는 지표가 됩니다.
기준연도의 제조업 평균가동률 X 비교 시점의 가동률지수(계절조정)=산출
반응형
LIST
'부자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운경제09)가산금리란?스프레드 기간가산금리 베이시스포인트 뜻 (0) | 2022.06.24 |
---|---|
쉬운경제08)가변예치의무제도란?외국환거래법 예치의무 뜻 (0) | 2022.06.23 |
쉬운경제06)가교은행이란?금융기관 청산 합병 인수 예금보험제도 뜻 (0) | 2022.06.23 |
쉬운경제05)가계처분가능소득이란?국민총소득 GNI 뜻 (0) | 2022.06.23 |
쉬운경제04)가계신용통계란?신용공급규모 통계 뜻 (0) | 2022.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