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총정리(쉽게 이해하는 채권의 종류, 정의와 본질)

요즘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빅스텝 등으로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에 따른 투자처를 많이들 찾는 것 같습니다.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으로 인한 채권투자가 바로 그것인데요. 먼저 채권에 대한 의미부터 이해하고 채권ETF 투자를 통해 편리하게 채권에 투자할 수도 있으니 쉽게 이해하는 채권의 뜻과 채권의 종류, 채권의 정의와 본질에 따른 분류 등에 대해 먼저 알아보시고 전세계 인기순위 채권ETF와 인플레이션시대 투자처, 채권투자방법 등을 함께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아래 바로가기를 참고하시고요. ↓↓↓↓↓
전세계 채권 ETF 상위 1% 25개 목록(종목코드 순서별 모음 운용자산 거래대금 달러량 상장이름 티
전세계 채권 ETF 상위 1% 25개와 채권의 의미 인플레이션 시대에 안전한 투자로 급부상중인 채권ETF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해요. 근데 도대체 그래서 채권투자가 뭐가 어떻게 된다는거야? 매번
richartist.tistory.com
빅스텝, 미국금리인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파급력 4가지"(한국실물경제, 부동산, 금융시장, 수
빅스텝, 미국금리인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파급력" 사상 첫 3회 연속 기준금리 인상 "빅스텝" 왜냐하면 지금 심각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사상 초유의 3회 연속 기준금리 인상인 빅스텝' 으
richartist.tistory.com
인플레이션 시대, 여기에 투자해야죠. 1탄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
지금의 포스트 코로나와 똑같은 행보를 보였던 지금으로부터 약 17년 전의 이야기입니다. 2007년경 세계적인 경기가 활황을 보이면서 과도한 주식시장은 결국 국면으로 치닫고 인
richartist.tistory.com
인플레이션 넘어..."퍼펙트스톰온다"(KBS다큐인사이트 후기 요약 한방에 정리)오건영 김영익 박정
경기침체 인플레이션 전쟁갈등..."퍼펙트스톰온다"(다큐인사이트KBS 후기 요약 한방에 정리) 역대 가장 두려운 시기가 오고 있습니다. 40년만에 오는 인플레이션을 넘어서 퍼펙트스톰이 올것이라
richartist.tistory.com
불황 속 유일하게 40% 수익낸 주식!(인플레이션 투자 대체자산)
불황 속 연초 대비 40% 수익을 낸 유일한 주식 ?! 금리가 오르면서 모든 자산 가격은 급격하게 하락을 맞이했습니다. 무서울 정도로 시장은 하락세로 접어들었고 특히 국내 주식 미국 주식 할 것
richartist.tistory.com
전세계 배당주 ETF 상위 1% 25개 목록(종목코드 순위별 모음 운용자산 거래대금 달러량 상장이름
전세계 배당금 ETF 상위 1% 25개 <종목코드 순위별 모음 운용자산 거래대금 달러량 상장이름 티커 심볼 평균 거래량 순> 요즘 인플레이션이네 빅스텝 금리인상이네 난리도 아니죠. 부동산 자산가
richartist.tistory.com
채권이란 무엇일까요?
채권이란 정부나 금융기관, 지방자치단체, 주식회사 등이 투자자를 대상으로 장기자금을 차용하기 위해 발행한 증서(증권)같은 것을 말해요. 채권의 발행자격을 갖춘 기관은 법으로 정해져 있기때문에 발행자격이 있어도 발행을 위해서는 정부로부터 별도의 승인도 받아야 해요.
채권의 본질에 따른 분류
1. 확정 이자부 증권
발행 시 발행자가 지급해야하는 이자나 원금의 상환금액 및 기준이 확정되어 있는 증권을 말해요.
2. 이자지급 증권
주식과는 다르게 수익 발생과는 관계없이 무조건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 증권을 말해요.
원리금의 상환기간에 대한 기한이 미리 정해져 있는 것을 기한부 증권이라고 말해요.
4. 장기 증권
채권 발행자가 투자자를 대상으로 안정적인 자금 조달을 장기적으로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장기증권이예요.
5. 상황 증권
발행자의 상환능력이 있는 한 무조건 상환되어야 하는 증권을 상환증권이라고 말해요.
채권 용어에 따른 분류
1. 우리가 자주 들어 보았던 국채, 금융채, 회사채, 외국채, 지방채, 비금융특수채, 통안채 등은 발행하는 주체를 의미해요. 즉, 국채라 함은 나라에서 발행하는 것. 기업에서 발해하는 것은 회사채(기업채) 등으로 이해하시면 편해요.
2. 할인채(할인채라는 것은 만기때까지 총 이자를 미리 공제하는 방식으로 선지급하는 것을 말해요. 만기에는 투자원금에 해당하는 액면금액만 지급하는 형태의 채권으로 통화안정증권(이표채 제외)등의 금융채 일부가 이것에 속해요.), 복리채(채권발행 후 만기까지 이자지급 기간만큼 복리로 이자가 재투자되어 만기때는 원금과 이자가 동시에 지급되는 채권이예요. 국민주택권 1,2 종과 지역개발채, 금융채 일부 등이 해당되요.), 이표채(이표채라는 것은 정해진 단위기간마다 이자를 주기적으로 지급하는 방식을 말해요. 보통은 3개월 이표채가 가장 일반적이고요.), 단리채라는 것은 이자지급방법을 이야기하는 거예요.
3. 보증채, 무보증채라는 것은 보증의 유무에 따라 유무를 앞에 붙인 것이예요.
4.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란 상환기간에 따라 단기, 중기, 장기로 이름 붙인 것잉예요.
5. 만기상환채, 분할상환채라는 것은 원금을 만기에 상환할건지, 분할로 상환할건지에 대한 상환방식을 말해요.
6. 고정금리채나 변동금리채라는 것은 액면 이자 확정여부에 따라 고정으로 할지 변동금리를 적용할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예요.
7. 액면발행채, 할인발행채, 할증발행채라는 것은 발행가액을 말하는 것을 뜻해요.
8. 공모채, 사모채라는 것은 채권 모집방법에 따른 것으로 공모르 통한 것인지 사모를 통한 채권인지를 말합니다.
지금까지 채권에 대한 의미부터 이해하고 채권ETF 투자를 통해 편리하게 채권에 투자할 수도 있으니 쉽게 이해하는 채권의 뜻과 채권의 종류, 확정 이자부 채권, 이자지급 채권, 기한부 채권, 장기채권, 상황채권, 국채, 금융채, 회사채, 외국채, 지방채, 비금융특수채, 통안채, 할인채, 복리채, 이표채, 단리채, 보증채, 무보증채,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 만기상환채, 분할상환채, 고정금리채, 변동금리채, 액면발행채, 할인발행채, 할증발행채, 채권의 정의와 본질에 따른 분류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