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 생각

요즘 난리난 인플레이션 종류 11가지 총정리 2편

by 생각의 열쇠 2022. 6. 23.
반응형
SMALL

모르면 당신만 가난해지는 인플레이션 사태 11가지 총정리 2편!

 


저번 시간에 이어서 나만 모르고 있었던 인플레이션의 종류와 그 역할에 대해 이야기 하였습니다.


이번 시간도 당연히 알아두어야할 부자되는 상식에 대해 함께 알아보아요.


1편을 보지 못하신 분들은 1편부터 보고 오시면 이해가 수월하실 것 같습니다. 참고하시고요.
https://richartist.tistory.com/entry/%EC%9A%94%EC%A6%98-%EB%82%9C%EB%A6%AC%EB%82%9C-%EC%9D%B8%ED%94%8C%EB%A0%88%EC%9D%B4%EC%85%98-%EC%A2%85%EB%A5%98-11%EA%B0%80%EC%A7%80-%EC%B4%9D%EC%A0%95%EB%A6%AC-1%ED%8E%B8?category=1049530

 

요즘 난리난 인플레이션 종류 11가지 총정리 1편

세상엔 나만 모르는 인플레이션이 이렇게나 많다. 세상에는 아무리 노력해도 자신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지금 가진 돈이 1억이 있다고 칩시다. 과연 지금의 현금

richartist.tistory.com

그럼 나머지 2편 총정리 가겠습니다.

 

5. 디맨드 풀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 :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디맨드 풀 인플레이션이란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란 뜻으로 경기과열 등으로 인하여 개인들의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많이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부족해져 버린 재화와 서비스의 물가도 지속해서 상승하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쉽게 말해 수요를 끌어당기는 인플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이러한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은 생산요소시장과 생산물시장에서 초과수요가 발생할 때 특히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확대재정정책과 과도한 통화량의 증가, 민간 소비나 투자의 갑작스러운 변동에 따른 수요충격 등은 총수요를 증가시켜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정부는 경기침체에 빠져버린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서 정부지출을 확대하거나 세율을 인하하는 등의 급격한 확대 재정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그럴 경우 총수요가 증가하면서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게 됩니다.



6. 하이퍼 인플레이션(Hyper-Inflation) 초인플레이션



하이퍼 인플레이션이란 초인플레이션을 뜻하며 인플레이션이 악화하여 이제는 더 이상 수습할 수 없는 상태일 때를 말하는 무시무시한 경제학 용어를 이야기합니다.


보통 초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경우 한 달 사이에 전 달 대비 물가상승률이 50% 이상 올라가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즉, 1년에 물가상승이 약129.75퍼센트 또는 50일마다 물가가 2배로 뛰어버릴 경우 초인플레이션이 일어났다고 이야기하는데요,


감이 잘 안 잡히시죠, 199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의 25년 치 물가상승률을 다 합쳐봅시다. 25년 치 물가상승률을 다 합친 것이 대략 100%인데 이것이 50일 만에 뛰어버릴 만큼 상승한 것을 일컫습니다.


이렇게 얘기하니 확실히 감이 옵니다. 쉽게 말해서 5,000원에 먹던 자장면을 초인플레이션이 일어나면 내년엔 50만원, 내후년엔 5,000만원을 내고 먹어야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7. 디플레이션(deflation : 물가하락/통화수축)



디플레이션이란 물가하락 또는 통화수축을 뜻하는 것으로 물가가 지속해서 하락하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디플레이션(deflation) 시 물가상승률은 마이너스로 하락하는 마이너스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은 생산물의 과잉 공급과 자산 거품의 붕괴, 과도한 통화 긴축정책과 생산성 향상 등 너무나도 다양합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유통되는 통화의 양 자체가 재화 및 서비스의 양보다 적기 때문에 화폐가치는 상승하게 되고 반대로 물가는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죠.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당연히 통화의 가치는 상승할 수밖에 없게 되고 실물자산의 가치는 하락을 하게 됨에 따라 인플레이션과는 반대 방향으로 소득 및 부의 비자발적인 재분배가 발생하게 됩니다.

반응형

이외에도 실질금리 상승에 따른 총수요 감소나 실질임금 상승에 따른 고용 및 생산 감소 그리고 소비지출이 연기됨에 따른 경제활동의 위축과 부채디플레이션에 따른 총수요 감소, 통화정책 및 재정정책과 정책적 대응에 따른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 등이 디플레이션 악순환의 가능성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8.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 인플레이션 완화




디스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 완화를 말하는 것으로 물가수준이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으나 물가상승률은 둔화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015년에는 5.0%이었으나 2016년에는 3.5%, 2017년에는 2.0% 등으로 낮아지는 경우에는 매년 물가상승률이 0보다 크므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수준이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지만, 상승률은 5.0%→3.5%→2.0%로 낮아지고 있는 현상을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이라고 합니다.


디스인플레이션은 단기간에 그치면 크게 걱정할 일은 예를 들어 에너지 가격이 하락하거나 생산성이 증대되는 등 공급요인으로 인한 일시적인 물가상승률의 둔화에 따른 경제의 악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디스인플레이션이 계속되어 물가상승률이 추가적인 하락을 전망하게 될 경우에는 가계와 기업이 소비와 투자를 미루게 되고 수요는 위축하게 되므로 디플레이션 압력을 보다 크게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의 경우 경제주체들은 물가상승률 예상치가 더 낮아지지 않도록 사전에 통화정책 및 재정정책 등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미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9. 스태그네이션(stagnation : 경기 정체, 경기침체)



스태그네이션이랑 경기 정체 또는 경기침체를 뜻하는 것으로 장기적인 경제 침체를 말합니다. 보통은 1년 동안 경제 성장률이 2~3% 이하로 떨어졌을 때를 스태그네이션이라고 합니다.


10.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 네이션(stagnation: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물가상승)을 합성한 용어입니다.


경기 불황 중에도 물가가 계속해서 오르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는 경기침체기에 물가가 하락하거나 경기 호황기에는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습니다.


그런데 제2차 세계대전 이후(특히 1970년대 들어) 두 번의 유가 파동이 일어나면서 실제로는 실업이 늘어나는 침체기임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실업과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증가하는 이러한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하게 되었습니다.


즉 국민소득의 증가세가 축소되고(경기침체) 전반적인 물가수준이 지속해서 상승하는(인플레이션) 이 두 가지 현상이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말하지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실업률은 물론 물가상승률도 모두 상승하므로 국민의 경제적 고통은 커질 수밖에 없게 됩니다.


11. 슬럼프플레이션(slumpflation)



슬럼프플레이션이란 경기가 후퇴하는 가운데 물가는 상승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영국의 이코노미스트] 지에서 처음 사용하게 된 용어로 스태그플레이션보다도 더 심각한 상태에 이르는 것을 말합니다.


실제로 인류 역사상 가장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이 일어났던 헝가리에서는 시중에 풀린 모든 돈을 다 합쳐도 휴지 13조각밖에 살 수가 없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정말 상상이 안 되는 사건이네요. 이런 초인플레이션 시대가 와서는 안 되겠지만 요즘 경기 흐름이 심상치 않음은 확실히 느껴지네요.


이처럼 인플레이션의 공포는 엄청난 것임을 알아 두어야 할 것입니다. 이런 인플레이션 시대에 자산을 잃지 않고 지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도 함께 알아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https://richartist.tistory.com/entry/%EC%9D%B8%ED%94%8C%EB%A0%88%EC%9D%B4%EC%85%98%EC%8B%9C%EB%8C%80-%EC%97%AC%EA%B8%B0%EC%97%90-%ED%88%AC%EC%9E%90%ED%95%B4%EC%95%BC%EC%A3%A0-2%ED%83%84

 

인플레이션시대, 여기에 투자해야죠. 2탄

저번 시간에 말씀드렸다시피 인플레이션 시대에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곳에 관해 이야기해보았는데요, 그것 외에도 우리의 자산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그 전에

richartist.tistory.com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