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순응성이란?
경기 순응성이란 통상 경제주체의 위험 인식 및 행위, 금융의 제도 및 규제 등의 효과가
경기변동의 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은행 대출의 경우 호경기에는 미래에 대한 낙관적 기대 등으로
여신심사기준도 완화되어 더 많이 증가하여 경기확장에 기여하는 반면
불경기에는 심사기준이 강화되어 대출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불황을 더욱 부추기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은행 대출의 경기순응적 대출행태는 신용팽창 또는 위축을 가속시킴으로서
경기변동의 진폭을 더욱 크게 합니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정책을 마련할 경우 경기 순응성을 완화할 수 있는
경기에 대응하는 정책 수단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경기 순응성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경기조절 정책(business adjustment policy) 또는 경제안정화정책(stabilization policy)
경기조절 정책(business adjustment policy) 또는 경제안정화정책(stabilization policy)이란
경기가 지나친 확장이나 수축 현상을 보일 경우
이를 정상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정책당국이 취하는 제반 조치를 말합니다.
이는 정책당국이 경제 전체의 총수요 수준을 변동시킴으로써
경기 수위를 조절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실제 운영에 있어서는 정부지출과 세율을 조정하는 재정정책이 이용되거나
통화량과 금리 수준을 조절하는 통화정책이 활용되는데요.
즉 경기가 정상수준을 큰 폭으로 밑도는 불황에 직면하게 될 경우
정부는 재정지출을 늘리거나 조세를 줄이는 재정정책 수단을 동원하게 되는 것입니다.
한편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늘리거나 금리를 내리는 정책 수단을 활용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경기가 지나치게 과열될 경우
정책당국은 재정 측면에서는 정부지출을 줄이거나 조세를 늘리고,
통화 측면에서는 통화량을 줄이거나 금리를 올리는 조치를 취합니다.
'부자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운경제25)경영실태평가란?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란?CAMEL-R시스템ROCA시스템CACREL시스템 뜻 (0) | 2022.06.26 |
---|---|
쉬운경제24)경상수지란?국제수지란?본원소득수지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이전소득수지 뜻 의미 정리 (0) | 2022.06.26 |
쉬운경제22)겸업주의란?전업주의란?볼커룰 소매은행업격리제도 뜻 (0) | 2022.06.25 |
쉬운경제21)경기순환과정?경기동향지수?경기종합지수란?경기확산지수경기싸이클 (0) | 2022.06.25 |
쉬운경제20)결제부족자금 공동분담제란? 결제완결성 의미 뜻 (0) | 2022.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