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 생각

쉬운경제12)간접금융이란? 직접금융이란?잉여주체 부족주체 뜻

by 생각의 열쇠 2022. 6. 25.
반응형
SMALL

간접금융 vs 직접금융 뭐가 다를까요?


쉽게 말해 경제에는 자금 잉여 주체와 자금 부족 주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잉여 주체와 부족 주체 사이에 금융기관이(은행이나 저축은행 신용협동기구 등과 같은)



개입을 하여 자금을 중개하는 방식을 간접금융(indirect financing)이라고 합니다.

 


쉽게 예를 들면, 금융기관이 우리와 같은 일반 대중으로부터 예금을 받아서



자신의 명의로 기업과 같이 다른 경제주체에 대출을 해 주는 방식을 말합니다.



즉, 사람들이 예금으로 맡긴 돈을 은행 이름으로 기업 등에 빌려주는 것을 간접금융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한편 주식이나 채권처럼 자금수요자가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



금융시장에서 필요자금을 직접 조달하는 방식을 직접금융(direct financing)이라고 하는데요,



간접금융에서는 은행이 중추적인 기능을 한다면

반응형

직접금융에서는 주식과 채권이 거래되는 자본시장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직접금융과 간접금융은 서로 상호 경쟁적이기도 하지만 서로 보완적이기도 하기 때문에



두 금융방식이 균형 있게 발전하며 공존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직접금융과 간접금융의 비중이 어느 정도일 때 이상적인지는



해당 국가의 경제구조나 경제발전단계에 따라서 달라질 수밖에 없는 게 사실인데요,



예를 들면 중소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의 경우



정보의 비대칭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 간접금융이 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혁신산업의 발달로 주도되는 경제일수록



혁신산업 지원에 유리한 직접금융의 역할이 더 중요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금융시장이 발달함에 따라 직접금융의 비중이 높아지는 편입니다.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