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가계 순저축률이란?
쉽게 말해 일반적으로 저축률이라는 것은 저축액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하니까,
저축액/처분가능소득=저축률
가계 순저축률도 가계부문의 순 저축액을 가계 순 처분가능소득과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연금기금의 가계 순 지분 증감조정액을 합계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이 되겠다.
가계부문의 순 저축액/(가계 순 처분가능소득+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연금기금의 가계 순 지분 증감조정액) =가계 순저축률
여기서 사회적 현물이전(social transfer in kind)이란 말은
반응형
정부 등이 가계에 제공하는 재화 및 서비스로
현물이전의 형태로 제공되는 무상교육, 보건소의 무상진료 등이 해당합니다.
그리고 연금기금의 가계 순 지분 증감조정액을 분모에 더하는 이유는
퇴직연금 등과 같이 가계가 납부한 연금 부담금과 연금 수취액의 차액을 반영해야만
가계부문의 저축액을 정확히 구할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즉, 가계 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저축성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반응형
LIST
'부자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운경제05)가계처분가능소득이란?국민총소득 GNI 뜻 (0) | 2022.06.23 |
---|---|
쉬운경제04)가계신용통계란?신용공급규모 통계 뜻 (0) | 2022.06.23 |
쉬운경제02)가계수지란?소득지출 비교지표 뜻 (0) | 2022.06.23 |
쉬운경제01)가계부실위험지수 HDRI 란?가계부채 부실위험 평가지표 뜻 (0) | 2022.06.23 |
요즘 난리난 인플레이션 종류 11가지 총정리 2편 (0) | 2022.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