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 생각

불황 속 유일하게 40% 수익낸 주식!(인플레이션 투자 대체자산)

by 생각의 열쇠 2022. 7. 2.
반응형
SMALL

불황 속 연초 대비 40% 수익을 낸 유일한 주식 ?!

금리가 오르면서 모든 자산 가격은 급격하게 하락을 맞이했습니다.

 

 

 

무서울 정도로 시장은 하락세로 접어들었고 특히 국내 주식 미국 주식 할 것 없이

 

 

 

전 세계 거의 모든 지수가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모든 사람이 울상인 가운데 유일하게 연초 대비 40%의 수익률을 낸 주식이 있습니다.

 

 

 

도대체 어떤 주식이길래?

 

 

 

금리가 오르면 주식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보통은 자연스럽게 주식가격이 내려가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하락에 베팅하는 ETF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바로 " 채권 인버스 레버리지 ETF"입니다.

 

 

 

, 지수가 하락하리라는 것에 배팅하는 인버스 ETF인데,

 

 

 

인버스의 하락 2배 레버리지에 배팅하는 것이

 

 

 

바로 인버스 레버리지인" 인버스 2배 레버리지 ETF" 상품이 되겠습니다.

 

 

 

주식이 하락하면 반대로 오르기 때문에 돈을 벌고

 

 

 

반대로 주식이 상승하면 하락하기 때문에 돈을 잃게 되는 ETF입니다.

 

 

 

하락률 2배 추종 ETF인 인버스 레버리지 ETF 중에서는

 

 

 

최근 연초 대비 40% 까지 수익률을 기록한 상품이 등장하였습니다.

 

 

 

어떤 상품이냐구요?

채권 인버스 ETF는 어떻게해서 수익이 나오는 구조일까요?

 

 

 

바로 국채선물에 매도 포지션을 통해 금리가 상승하는 국면에는

 

 

 

이익을 거둘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제로인에 따르면 'KBSTAR 미국 장기국채 선물인버스2X ETF'

 

(2배 인버스입니다. 2배 레버리지와 혼동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연초 이후 23일까지 40.86% 수익률을 기록하였습니다.

 

 

 

'KODEX 미 국채 울트라 30년 선물인 버스 ETF'

 

 

 

수익률이 30.87%로 뒤를 이었고요.

 

 

 

김정섭 KB자산운용 ETF 마케팅본부 이사는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한때 3.48%까지 상승하면서

 

 

 

20114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리 변동에 민감한 장기채 인버스 ETF가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라고 설명했습니다.

 

 

 

국내 채권시장에서 가장 듀레이션(투자자금의 평균 회수 기간)

 

 

 

긴 상품은 10년 국채 선물입니다.

 

 

 

'KODEX 10년 국채선물 인버스ETF'와 'KBSTAR 국채선물10년인버스 ETF'

 

 

 

같은 기간 12%의 수익을 내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이처럼 금리 상승 구간에는 채권인버스 ETF를 참고 해 보는 것도 방법일 듯 합니다. 

 

 

 

무조건 인버스에 배팅하는 것은 위험하니 반드시 숙지하셔서 

 

 

 

신중한 투자생활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LIST

댓글